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금붕어수명
- 열대어 질병
- 키우기 시리즈
- 앵무새수명
- 가재키우는방법
- 강아지
- 열대어질병
- 금붕어질병
- 도마뱀
- 열대어 돌출안구
- 물고기질병
- 앵무새 반려
- 열대어 눈
- 금붕어사육
- 앵무새키우는법
- 물고기키우기
- 안구백탁
- 가재 수명
- 물생활
- 열대어 안구
- 열대어 팝아이
- 가재 사육
- 열대어
- 햄스터 핸들링
- 금붕어
- 앵무새 온도
- 구피사육
- 파푸야가재
- 구피키우기
- 앵무새
- Today
- Total
목록애완동물/동물 키우기 시리즈 (9)
AAO

"작은 공간에 금붕어 키우고 싶어요" "순둥 한 얼굴이 너무 귀여워요" "관리하기 편하고 시간적인 부담도 없어서 좋아요" 금붕어 키우기 금붕어란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 중 붕어의 품종으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관상어로 개량한 붕어입니다. 금색 붕어만 금붕어인 건 아니고 간혹 금붕어가 붕어와 다른 종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붕어와 형태가 비슷한 점, 염색체의 수가 같고 또 같은 형인 점, 그리고 순계분리하여 사육을 반복해 가다 보면 붕어가 생기는 현상 등을 비교해 보면 일종의 붕어의 돌연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일반 붕어와는 달리 색부터가 매우 화려하고 아름다우며 가격도 저렴해서 일반 가정집에서 관상어로 많이들 사육합니다. 관상어로 가장 흔한 어종? 금붕어는 동아시아가 원산지로, 붕어의 ..

백치미 넘치는 행동! 무지개를 입은 거 같은 깃털! 매력 넘치는 목소리까지! 사랑스러운 앵무새 키우는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앵무새 키우기 키우기 전 주의사항 요새 반려조라고 해서 앵무새를 키우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보통 앵무새의 이미지는 아침에 일어날 때 숲 속 새가 재잘재잘거리 거나 '피터팬'의 후크선장에 어깨에 있는 앵무새를 상상하시는데요. 현실 속 앵무새는 생각보다 시끄럽습니다. 앵무새는 구강 구조가 평범한 새랑 다르기 때문에 소리를 지르면 마치 금속을 찢는 듯한 소리가 나는데 생각보다 엄청 큰 소음이며, 소리가 아파트 벽을 뜷으며 심지어 앵무새 중 작은 사랑앵무 마저 새벽에 시끄럽다고 민원이 들어온 사례가 있을 정도입니다. 앵무새는 생각보다 많은 인내심과 관심이 많이 필요한 애..

크고 멋진 집게! 찬란한 발색! 단단한 몸까지 로망의 결정체 가재! 가재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육하는 얍비, 체락스 종인 남방가재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가재 키우기 화려한 색상과 시선을 끌 정도의 거대한 크기! 오늘은 가장 많이 사육하는 남방가재의 대표종 몇 종을 소개해드리면서 키우는 사육방법에 대해 짤막하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남방 가재란? 남방가재 속에 해당하는 가재 종들의 총칭으로 현재 관상용으로 가장 인기가 많은 종들입니다. 가시가재와 함께 남반구에서 가장 가재과에 속하며, 흔히 알고 있는 얍비나, 체락스 종이 대표종이죠. 한국에서는 '파푸아 가재'라고 불리고 있습니다만 파푸아 가재 전부가 남방 가재에 속한 것은 아닙니다. 근래 클라키 가재들이 생태계 교란종이 되면서 키우면 안 된다는 이미..

SNS에서 손에 쏙 들어오는 귀여운 햄스터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귀여운 외모에 부드러운 털! 한번 만져보고 싶은 비주얼인데요! 우리들에게 친숙한 햄스터! 햄스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햄스터 키우기 햄스터란? 설치목 비단털쥐과 비단털쥐아과에 속한 포유류로 1930년 시리아의 알레포 지역에서 채집된 암컷 1마리와 새끼 12마리가 최초이며, 이때 이 13마리가 현재 사육되는 골든햄스터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현대에 햄스터가 햄스터란 이름으로 알려지게 된 것은 독일에서 한 사람이 햄스터가 굴을 파 먹이를 저장하는 것을 보고 독일어 단어 중 Hamstern(파괴자)를 인용하여 햄스터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성공적으로 사육 및 번식이 시작된 것은 현재 기준으로 93년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한국에서는 ..